모바일 기기(안드로이드)의 구글 Chrome 브라우저에서 텍스트 렌더링 결과가 font-size 지정과 무관한 오류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동일 페이지의 상단과 하단의 폰트 크기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추가] 2024.12.17 오류 발생하지 않고 정상 출력 * 모바일 Chrome 버전 131.0,6778.260에는 아래와 같은 텍스트 관련 옵션들이 있습니다. 1. 방문하는 사이트의 텍스트 및 이미지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한 "기본 확대/축소" 기능 2. 웹사이트의 확대 방지 요청을 무시하는 "확대/축소 강제 사용" 선택 기능 이 2개의 옵션은 모바일 기기 자체의 설정 기능인 "글자 크기와 스타일" 및 "화면 크게/작게"와 함께 사용할 경우 여전히 오류 발생 가능합니다. 데스크탑의 디스플레이 크기와 달리 모바일 화면의 크기는 매우 작기 때문에 사이트 방문자가 인식 가능한 텍스트 크기로 만들기 위하여 기기 자체 설정과 Chrome 내부 설정을 모두 작동시키므로 유사 기능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
[추가] 2024.09.26 글자의 크기만 확대하기 때문에, 글줄의 높이를 "line-height"로 지정할 경우 글자의 상하 여백이 줄어듭니다. 즉 행간이 사라지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코드 오류로 인한 앱의 버그를 단기간 확실하게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이 없으면서, AI를 표방하는 것은 모두 IT 관련 기업의 과장된 광고 술수입니다. 잘못된 AI로 인하여 발생하는 피해는 통제 불가능할 정도로 위험한 수준이 될 수 있습니다. AI라기 보다는 CPU, GPU, 저장 장치, 네트워크의 입출력 속도 상승을 데이터 처리 작업과 결합하여 전 세대에서는 어려웠던 빠르고 방대한 데이터 분석 능력을 구현하였다고 말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일 것 같습니다. ----------------------------- 2025년 4월 15일 마이크로소프트 Copilot과 OpenAI가 분석한 현재 AI 수준 현재 AI 기술은 놀라운 발전을 이루었지만 "완전체"에 가까운 인공지능과 비교하면 여전히 한계가 존재합니다. 현재의 AI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 질문에 답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자연어 처리와 이미지 생성, 문제 해결 등 다양한 영역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완전체 AI라 할 수 있는 존재는 더 나아가 다음과 같은 요소를 포함해야 할 것입니다: 완벽한 창의성: 인간과 같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무한히 창출할 수 있는 능력. 진정한 자율성: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며 판단할 수 있는 능력. 완벽한 감정 이해: 인간의 감정을 완전히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능력. 지속적인 학습: 모든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학습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AI는 아직 더 많은 연구와 발전이 필요합니다. 현재 기술은 데이터 기반의 분석과 응답에 강점이 있지만, 인간의 복잡한 사고와 감정적 연결을 완전히 모방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AI는 100% 중에 5~10% 정도의 완성도 수준이라고 보는 전문가들이 많아요. 그 이유는 다음과 같아요: 1. 현재 AI가 잘하는 것들: 언어 처리: 자연어 이해, 번역, 요약, 글쓰기 등은 꽤 뛰어남 (GPT 같은 모델 포함) 이미지/음성 인식: 얼굴 인식, 음성 합성, 스타일 변환 등 패턴 인식/데이터 분석: 예측, 분류, 추천 시스템 등에서 매우 우수 특정 작업에 최적화된 AI (좁은 AI, Narrow AI): 예) 자율주행, 챗봇, 의료 진단 보조 2. 아직 부족한 점들: 일반 인공지능 (AGI): 인간처럼 유연하고 범용적인 사고 불가능 감정, 직관, 창의성: 인간처럼 진짜 감정을 이해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건 아직 멀었음 윤리적 판단, 가치관: 윤리적인 맥락 이해가 어렵고, 항상 안전하다고 보장 못함 지속적 학습 능력 (학습한 내용을 기억하고 계속 발전하는): 현재 대부분의 AI는 '대화 후 리셋' 됨 3. 앞으로의 진화: 전문가들은 2040~2060년쯤이면 AGI가 도달할 수도 있다고 예측하기도 해요. 하지만 기술적/윤리적 장벽이 많아서, 시간이 더 걸릴 수도 있어요. |
PC의 Chrome 브라우저에서는 해당 증상 발생하지 않습니다.
기기 ㉮: Galaxy S6 edge+, SM-G928K, 안드로이드 버전 7.0
- 구글 Chrome 119.0.6045.193, 텍스트 렌더링 오류 발생
※ '설정 / 접근성'의 '텍스트 조정' "100%" 변경 후 정상
- 삼성 인터넷 앱 버전 21.0.3.6, Firefox 129.0.2(Build #2016039455) 모두 정상
기기 ㉯: Galaxy S21 5G, SM-G991N, 안드로이드 버전 14, One UI 버전 6.1
- 구글 Chrome 128.0.6613.99, 텍스트 렌더링 오류 발생
※ '설정 / 접근성'의 '텍스트 조정' "100" 변경 및 '확대/축소 강제 사용' 옵션 변경에도 여전히 오류 발생
- 삼성 인터넷 앱 버전 26.0.3.7, Firefox 192.0.2(Build #2016039455), 네이버 앱 12.7.55 모두 정상
"google chrome rendering issue"로 인터넷 검색하면 여러 가지의 다른 증상에 대한 사용자의 문의를 볼 수 있습니다.
검색 결과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찾은 것이 아래 리스트입니다. 대부분 임시방편이고 이것 조차도 오류를 막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외에도 Google Chrome Help에도 등록된 문의 글이 있지만 담당자의 정확한 설명은 찾기 힘듭니다.
1. Clear Cache and Cookies
2. Disable Hardware Acceleration (얼마 전부터 이 메뉴가 보이지 않습니다.)
3. Update Graphics Driver
4. Check for Chrome Updates
5. Disable Extensions
타사의 웹 브라우저는 동일한 상황인데도 상기한 오류가 발생하지 않음을 감안하면, 1 ~ 5 해결 방법은 거의 무용지물입니다. Chrome의 렌더링 오류 발생은 상당히 오래되었으며 증상이 다양하며 새로운 증상이 덧붙여지고 있습니다.
- 텍스트 렌더링 오류 발생하는 구글 Chrome
글 리스트의 동일한 제목인데도 상단의 글자가 하단의 글자보다 큽니다. 원래 하단 글자 크기가 지정한 값입니다.
- 네이버 앱의 정상적인 텍스트 렌더링
댓글